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

소프트웨어 개발의 기초: 역량 평가 대학원 연구실 생활을 하면 필수적으로 여러 개의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됩니다. 연구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때, 보통 열악한 환경과 바쁜 실험 일정으로 인해 주먹구구식으로 개발하고 관리는 손도 못 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보다 나은 개발 환경을 갖추기 위하여 다음의 역량 평가를 해보면 좋을 듯합니다. 역량 평가 항목은 소스코드 관리시스템, 버그 관리시스템을 우선 정리하고, 이후에 요구사항이나 일정, 테스트, 리스크 관리에 대하여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소스코드 관리시스템을 딱 하나만 사용. Subversion, Visual SourceSafe 등의 여러가지 시스템 중에서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 또는 분산 소스 코드 관리 환경만 구축하여 사용하는 경우 1점을 부여합니다. 만약, 소스코드.. 2022. 5. 12.
반도체와 캐리어 개념 반도체는 그 단어 자체에서 나타나듯이, 조건에 따라 도체일수도, 부도체일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조건은 어떤 것이고 어떻게 정의될까요?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바로 캐리어(carrier)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물리전자 전공 서적이나 관련 글들은 여기서부터 본격적인 수식과 복잡한 용어들이 등장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포스팅에서는 가볍게 대화하듯이, 수식과 복잡한 말들을 최소화하여, 반도체와 캐리어 개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최대한 쉽게, 쉬운 설명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캐리어는 전도대의 전자와 가전자대의 정공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캐리어의 유효 질량과 그 개념, 전류의 전도 성분과 진성(intrinsic) 및 불순물(extrinsic, 외인성으로 번역됩니다) 반도체의 캐리어 농도를 정리.. 2022. 5. 8.
고체의 결합과 에너지 밴드 '물리전자공학', 간단히 '물리전자'는 반도체공학의 핵심 학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반도체 소자 중에서 다이오드나 트랜지스터, 그리고 메모리와 같은 소자에 대한 신뢰성에 관련된 문제를 살펴볼 때 기본으로 응용되는 학문인 것 같습니다. 이런 관점에 기초하여, 고체의 결합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에너지 준위 변화와 밴드 형성에 대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 고체의 결합은 두 원자가 각각의 궤도가 겹칠 정도로 충분히 가까워지면서 고체가 형성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때, 원자 사이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따라 고체의 결합은 금속 결합, 공유 결합, 이온 결합으로 나뉘게 됩니다. 여기서 공유결합은 비금속 결합을 말하는데, 전기음성도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다시 무-극성(non-polar) 공유결합과 유-극성(pol.. 2022. 5. 7.